본문 바로가기

아웃소싱 뉴스

'도입률 6%' 산업 AI 확산, 왜 안 될까?

✔️ ‘AI 도입’ 말은 쉬워도, 현실은 녹록치 않다.

 

OECD 국가들이 직면한 생산성 정체 문제를 해결할 유력한 해법으로 인공지능(AI)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는 있다고 해도 이를 도입할 인재와 체계는 없다는 것이 많은 기업들의 현실입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AI 활용 기업은 2023년 기준 6.3%에 불과하며, 제조업은 이보다 더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AI에 대한 인식은 높지만, 실제 도입률은 여전히 저조한 것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3대 장벽이 기업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 숙련된 AI 인력의 부족 (20% 이상이 인재 채용 실패 경험)

- 기술 이해도 미흡 및 조직 내 저항감

- 투자 수익률(ROI)에 대한 불확실성

이러한 상황은 중소·중견기업에 더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는데요, 대기업과의 인재 경쟁에서 밀리고, 적절한 솔루션 파트너조차 찾기 어렵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꾸준히 나오고 있습니다.

 

✔️ 해외는 실무 중심 전략으로 ‘AI 내재화’ 지원 중

그렇다면 산업 AI의 확산에 성공한 국가는 어떤 전략을 쓰고 있을까요?

보고서는 독일의 프라운호퍼(Fraunhofer), 영국의 디지털 캐터펄트(Digital Catapult), 미국의 MEP 프로그램 등을 예로 들며, 이들의 공통점으로 다음을 꼽았습니다:

- R&D 보조금 및 테스트 베드 제공

- AI 실무 교육 및 직무 맞춤형 콘텐츠 지원

- 중소기업과 협력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운영

 

이처럼 단순한 자금 지원이 아니라, 실제 문제 해결 중심의 지원 체계를 마련한 것이 핵심인데요, 특히 현물 자원을 기업이 직접 투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젝트가 더 큰 성과를 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국내는 '전략은 있지만 실행이 없다'

한국 정부도 ‘AI 국가전략(2019)’, ‘산업 AI 내재화 전략(2023)’, 그리고 2025년 예정인 ‘AI 기본법’을 통해 산업 AI의 확산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산업부는 2030년까지 AI 활용 기업 30% 확대와 AI 공급 기업 100개 육성을 목표로 세웠는데요, 그러나 현실은 다음과 같은 문제로 전략 이행률이 매우 낮은 상황입니다:

- 산업 AI 솔루션에 대한 상용화 예산 부족

- 산업 마이데이터 플랫폼 구축 지연

- AI 교육센터 운영비 부족 등

 

특히 기술 확산의 핵심인 중소기업은 인재 확보와 솔루션 선택, 인증 문제 등에서 뚜렷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 지금 필요한 건, ‘사람’과 ‘협업 플랫폼’

 

KIAT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 대응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 직업훈련기관 및 대학과의 파트너십 확대

- 실무 기반 AI 자격체계 및 커리큘럼 신설

- 기업 맞춤형 테스트 인프라 확대

- 성공사례 공유 및 네트워킹 플랫폼 강화

 

결국 AI 확산의 핵심은 ‘기술’이 아니라 ‘사람’과 ‘제도’입니다. 따라서 단기 실적이 아닌 장기적 생태계 구축에 집중해야 하며, 특히 중소기업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설계가 절실할 것으로 보입니다.

 

AI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입니다. 그러나 인재 양성과 정책 실행력 없이 기술만 강조한다면 그 효과는 한계에 부딪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정부와 공공기관은 이제 단순한 구호가 아닌, 기업의 실제 문제를 풀어주는 실무 중심 생태계를 조성해야 합니다.

파견/도급 문의:

본사(애드민) 마케팅전략팀 담당자 070-8708-5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