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는 불편, 기업은 타격, 일자리는 위협
최근 국회에서 논의 중인 대형마트 공휴일 강제휴업 법안이
유통업계를 넘어 판촉 아웃소싱 업계까지 흔들고 있습니다.
해당 법안은 대형마트의 월 2회 의무휴업일을
법정 공휴일로 고정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사실상 모든 대형마트가 공휴일에 영업을
중단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이럴 경우 주말이나 공휴일에만 쇼핑이 가능한
맞벌이 가정, 가족 단위 고객에게는
선택권 제한이라는 불편이 따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유통 현장의 인력 구조를
실질적으로 운영해온 아웃소싱 기업에게
이 법안이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아웃소싱 산업, 왜 위협을 받는가?
공휴일은 대형마트가 가장 많은 인력을 투입하고
높은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날입니다.
이 때문에 판촉 아웃소싱 업계는
매출의 많은 부분을 공휴일과 주말에 의존해왔습니다.
하지만 공휴일에 의무휴업이 고정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단기 아르바이트 수요 급감
대학생, 직장인 등 N잡러를 중심으로 구성된
단기 근로 인력의 수요가 줄고,
이에 따른 공급도 붕괴될 수 있습니다.
📉 연간 계약 구조 재편 필요
대형마트와 체결한 연간 판매촉진 계약도
재협상, 운영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집니다.
이는 중소형 아웃소싱 업체에 치명타가 됩니다.
📉 일자리 생태계 연쇄 충격
특히 계산원, 판촉 인력 등
여성 비중이 높은 일자리의 감소는
여성 경제활동 참여 위축, 지역경제 침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소비는 온라인으로, 규제는 오프라인에만?
2025년 4월 유통업체 매출을 보면,
오프라인 매출은 1.9% 감소, 온라인은 15.8% 증가했습니다.
실제 소비자들은 대형마트 대신 온라인몰,
해외 직구 플랫폼으로 발길을 옮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 규제는 오프라인에만 집중돼 있어,
오히려 온라인 유통업체의 반사이익만 키우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규제의 목적은 좋은데, 방향이 맞을까?
대형마트 강제휴업은 전통시장 보호, 노동자 휴식권 보장이라는
순기능도 있지만, 현실은 그리 단순하지 않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대형마트 휴무 시행 결과,
전통시장 매출은 늘지 않고 오히려 온라인 식료품 구매액이 증가했다고 합니다.
또한 일부 노동자들은 “공휴일 근무가 수당이 많아 선호된다.”고 말해,
내부에서도 찬반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특히 유통 대기업에 의존하는 중소형 아웃소싱 기업들은
계약 중단이나 폐업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실제 판촉 인력 수요 감소 → 인력풀 붕괴 → 운영 불가라는
도미노 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법을 개정하기에 앞서, 유통산업 생태계 전체를 조망하고
중소기업, 근로자, 소비자의 입장을 고려한
현실적이고 유연한 정책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파견/도급 문의:
본사(애드민) 마케팅전략팀 담당자 070-8708-5316
'아웃소싱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성 육아휴직, 이제 중소기업에서도 당당하게! (21) | 2025.07.01 |
---|---|
2025 중장년 경력지원제 제도의 의미와 신청 방법은? (13) | 2025.06.27 |
‘혼잡·교통유도 경비’, 새롭게 뜨는 경비 시장의 핵심 키워드 (16) | 2025.06.24 |
고용보험 이직확인서 처리 기간과 제출 여부 확인 방법은? (12) | 2025.06.23 |
MZ세대 퇴사율, 어떻게 잡을까? (17) | 2025.06.19 |